모토로라가 외산폰의 무덤으로 불리는 한국 시장을 다시 공략하려 합니다. 중국 레노버 산하의 모토로라는 신형 폴더블 스마트폰 레이저50울트라를 앞세워 한국 스마트폰 시장에 도전장을 내밀었습니다.
1. 출시 준비와 제품 특징
모토로라의 스마트폰(모델명 XT2451-3)은 지난달 29일 국내 전파인증을 받았습니다. 이는 모토로라의 새 클램셸(조개껍데기) 형태의 폴더블폰 레이저50울트라로 추정됩니다. 통상 전파인증을 획득한 제품은 1개월 전후로 출시되므로, 국내 판매가 임박한 것으로 보입니다.
레이저50울트라는 퀄컴 스냅드래곤8s 3세대 칩셋, 6.9인치 풀HD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화면, 165Hz 주사율, 4인치 P-OLED 커버 화면, 5000만 화소의 듀얼 후면 카메라, 2배 광학줌, 3200만 화소 전면 카메라 등을 특징으로 합니다. 배터리 용량은 4000밀리암페어아워(mAh), 유선 충전속도는 68W이며, 지문인식 센서는 측면에 위치합니다. 램 용량은 8/12/16/18GB, 내장 메모리는 128/256/512GB/1테라바이트(TB) 등 다양한 옵션을 제공합니다. 어떤 조합의 제품이 국내에 출시될지 관심이 모아집니다.
2. 과거 성적과 현재 상황
모토로라의 전작인 레이저40울트라는 LG헬로비전 헬로모바일, 쿠팡 등을 통해 판매됐지만, 큰 반응을 얻지 못했습니다. 삼성전자의 갤럭시Z플립5와 비교했을 때 가격은 10만원 정도 저렴했으나, 성능과 사후지원(AS)에서 우위를 점하지 못했기 때문입니다.
모토로라는 올해 1·4분기 북미 폴더블폰 시장에서 삼성전자를 제치고 선두에 오르는 등 전 세계 폴더블폰 시장에서 1260%의 성장률을 기록하며 탄력을 받고 있습니다.
도전 과제와 전망
모토로라가 레이저50울트라를 국내 시장에 출시한다고 해서 성공할 가능성은 여전히 낮은 편입니다. 이는 몇 가지 이유로 설명될 수 있습니다
중국 기업에 대한 부정적 이미지
모토로라는 레노버 산하에 있기 때문에 중국 기업에 대한 부정적인 이미지를 극복해야 합니다.
삼성전자와의 경쟁
삼성전자가 제공하는 통화녹음, 간편결제, 사후지원(AS) 등을 모토로라가 동일하게 제공하기는 어렵습니다. 이는 국내 소비자들이 삼성전자 제품을 선호하는 주요 이유 중 하나입니다.
경쟁 업체의 어려움
실제로 다른 중국 기업인 샤오미를 포함한 기타 업체들의 국내 스마트폰 시장 점유율은 1%에 불과합니다. 시장조사기관 카운터포인트리서치는 2·4분기 저렴한 가격을 앞세워 샤오미가 다시 국내 스마트폰 시장을 두드리고 있으나 갤럭시A의 높은 장악력으로 인해 성과를 볼 수 있을지는 미지수라고 전망했습니다.
결론
모토로라의 레이저50울트라는 뛰어난 기술력과 다양한 기능을 갖추고 있지만, 한국 시장에서 성공하기 위해서는 삼성전자와의 차별화 전략과 더불어, 중국 기업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극복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합니다. 또한, 소비자들에게 보다 매력적인 사후지원 서비스와 가격 경쟁력을 제공해야 할 것입니다. 앞으로 모토로라가 어떤 전략으로 한국 시장에서 입지를 다질지 주목됩니다.
3. 함께 보면 좋은 글
삼성전자 갤럭시 S24 올해 1·4분기 인공지능 스마트폰 시장 지배
1. 갤럭시 S24 삼성전자의 최신 스마트폰 갤럭시 S24 시리즈가 올해 1·4분기 전 세계 생성형 인공지능(AI) 스마트폰 시장을 지배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시장 점유율30일(현지시간) 시장조사
beomi70.tistory.com
화웨이 올해 1분기 삼성전자 제치고 폴더블 스마트폰 세계 판매량 1위
중국 화웨이가 올해 1분기 삼성전자를 제치고 폴더블 스마트폰 세계 판매량 1위에 올라섰다고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가 31일 보도했습니다. 1. 시장 점유율 변화 SCMP가 인용한
beomi70.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