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일본을 추월
우리나라 근로자 평균임금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의 90%를 넘었고, 그 격차는 점차 줄어들고 있다. 한국 근로자의 평균임금 수준은 10년 전에 일본을 추월한 이후로도 계속 격차를 벌리고 있다. 그러나 OECD 회원국 중에서 남녀 임금 격차가 가장 크고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의 임금 격차가 두 배 이상 벌어져 있는 점은 여전히 큰 문제로 남아 있다.
23일 OECD에 따르면, 2022년 기준 한국 근로자의 평균임금은 48,922달러로 OECD 회원국 평균의 91.6%에 달하며, 이는 역대 최고 수준이다. 이 수치는 2019년의 89.7%에서 2020년 90.4%로 처음 90%를 넘어섰고, 2021년에는 90.6%로 증가했으며, 2022년에는 더욱 높아졌다. 한국 근로자 평균임금은 1992년 63.8%였던 것에 비해 약 1.4배 상승했다.
2. OECD 19위
한국 근로자의 평균임금은 1992년 약 26,000달러에서 2011년 처음으로 40,000달러를 넘었고, 최근에는 50,000달러에 근접해 OECD 평균과의 격차를 줄이고 있다. 2022년 기준으로 한국의 평균임금은 OECD 38개 회원국 중 19위에 해당한다.
칠레, 콜롬비아, 코스타리카, 튀르키예 등의 국가는 한국보다 낮은 수치를 기록했다. 아이슬란드는 79,473달러로 1위를 차지했으며, 룩셈부르크(78,310달러), 미국(77,463달러), 스위스(72,993달러), 벨기에(64,848달러), 덴마크(64,127달러) 등이 그 뒤를 이었다. 반면, 멕시코는 16,685달러로 가장 적었고, 그리스(25,979달러), 슬로바키아(26,263달러) 등도 낮은 편이었다.
일본은 41,509달러로 25위에 위치했다. 한국의 평균임금이 일본의 1.2배에 달했다. 한국 근로자의 평균임금은 2014년 처음으로 일본을 추월한 이후, 2022년에는 49,000달러에 육박하며 일본과의 격차를 더 벌렸다. 30년 전인 1992년에는 일본이 40,434달러로 한국(26,214달러)의 1.5배였다.
이처럼 한국 근로자의 평균임금이 일본을 넘어 OECD 평균에 근접하고 있지만, 성별, 기업 규모별, 근로 방식별로 임금 격차는 여전히 큰 상황이다. 한국의 성별 임금 격차는 2022년 기준 31.2%로 OECD 회원국 중 가장 크다. 일본은 21.3%, 미국은 17.0%로 한국보다 낮다.
통계청이 지난 2월 발표한 '2022년 임금 근로 일자리 소득(보수) 결과'에 따르면, 2022년 12월 기준 대기업 근로자의 평균 소득은 월 591만 원(세전 기준)으로, 중소기업(286만 원)의 2.1배였다. 고용노동부가 발표한 고용형태별 근로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정규직의 시간당 임금은 24,799원으로, 비정규직(17,586원)의 1.4배였다.
전문가들은 성별, 기업 규모별, 정규직과 비정규직 간의 임금 격차를 완화하는 정책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노민선 중소벤처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성별, 기업 규모별 격차를 완화하는 정책에 더 많은 역량을 집중해야 한다"며 "중소기업의 생산성을 제고하고, 20대에 높은 취업률을 보이다가 30대에 급격히 하락하는 여성의 경력단절을 방지해 여성 인력 활용도를 높여야 한다"라고 말했다.
3. 정부 기업 협력
이와 같은 상황은 사회적 갈등을 유발할 수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와 기업이 협력하여 다양한 정책을 마련해야 한다. 특히, 여성 인력의 경력 단절을 방지하고, 중소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이를 통해 한국 근로자들의 임금 격차를 줄이고, 전반적인 임금 수준을 더욱 향상할 수 있을 것이다.
정부는 중소기업 지원 정책을 강화하고, 여성 인력의 경력 개발을 위한 프로그램을 확대하는 등의 조치를 취해야 한다. 이러한 노력을 통해 한국 근로자들의 임금 격차 문제를 해결하고, 경제 전반의 지속 가능한 성장을 도모할 수 있을 것이다.
4. 함께 보면 좋은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