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일본 7.6 규모의 강진 우리나라 동해안까지 지진해일

by 버미70 2024. 1. 2.
728x90

묵호항의 높은 파도
묵호항의 높은 파도

 

1. 지진해일의 여파

 

지난 1일, 일본 이시카와현 노토 지역에서 발생한 7.6 규모의 강진으로 우리나라 동해안까지 영향을 받았습니다. 이로 인해 지진해일 여파가 미치며 시민들의 불안이 증가했습니다. 2일 기상청에 따르면, 전날의 지진 여파로 동해안에도 지진해일이 밀려왔습니다.

 

 

1일 오후 6시부터 동해안에 도달한 것으로 관측되었으며, 저녁 8시 35분에는 강원도 동해시 묵호항에서 높이 85㎝의 지진해일이 관측되었습니다. 경북 울진군 후포와 강원 속초에서도 지진해일이 도달했지만 현재까지는 별다른 피해가 없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한국과 일본 사이에서 발생한 강진으로 동해안에서 지진해일이 관측된 것은 1993년 이후 31년 만입니다. 전문가들은 1일 지진보다 더 큰 규모의 지진이 발생하지 않는 한 한반도에 큰 영향은 없을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그러나 지진해일 영향권에서도 자유로울 수 없다며 대비를 강조했습니다.

 

김영석 부경대 지구환경과학과 교수는 "일본의 지진으로도 한국에서 지진해일이 일어날 수 있다는 사실이 다시 한번 확인된 것"이라며 "향후 이번처럼 큰 규모의 지진이 발생할 경우 대비를 철저히 해야 한다"라고 강조했습니다.

 

김 교수는 "일본 지진으로 인한 지진해일은 이미 예전에도 발생한 적이 있으며 충분히 예상 가능한 일이었다. 이번 지진해일은 1m를 넘지 않는 규모였지만 과거에는 서너 배 더 높은 해일이 밀려왔다"라고 설명했습니다.

 

그는 또한 "과거의 사례를 보면 일본 서쪽 해역에서 일어나는 지진은 동쪽에서 일어나는 지진보다 규모가 크지 않다"며 "향후에도 규모 8 이상의 지진은 일어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규모 7에서 8 사이 지진은 언제든 다시 일어날 수 있다"라고 전망했습니다.

 

2. 과거의 사례

 

1983년에는 일본 아키타현 서쪽 해역에서 발생한 지진으로 인해 한국에서도 인명피해가 발생했었고, 1993년에는 홋카이도 서쪽 해역에서 7.8 규모의 지진이 발생했습니다. 그러나 현재의 지진과는 달리 이전 지진에서는 지진해일의 영향이 훨씬 큰 범위에 걸쳤습니다.

 

이에 대해 기상청 관계자는 "이번 지진은 단층의 위치가 일본 내륙과 해역에 걸쳐있지만 1983년과 1993년에 발생한 지진은 해저에 있는 단층이 움직이면서 지진이 발생한 것으로 분석된다"며 "당시에는 단층 위의 바닷물이 더 크게 움직여 지진해일의 여파도 컸다"라고 설명했습니다.

 

밤에도 동해안 높은 파도 모습
밤에도 동해안 높은 파도 모습

 

일본에서는 1일 지진 발생 이후에도 현재까지 노토 반도와 인근 지역에서 150회 이상의 여진이 발생했다고 전해졌습니다. 그러나 관계자는 "여진이 계속 보고되고 있지만 7.6보다 더 큰 여진은 없을 것으로 전망된다"며 "작은 규모의 지진이 이어지는 상황이라면 한국에 큰 영향은 없을 것"이라고 예상했습니다.

 

 

그러면서 "현재는 지진해일이 안정적으로 가라앉은 상황이어서 안심해도 될 것으로 보인다"며 "다만 국지적으로 영향이 남아있을 수도 있기 때문에 지진해일 발생 이후 통상 24시간 이내에는 무리해서 해안에 접근하는 것은 자제하는 게 바람직하다"라고 당부했습니다. 이러한 안전을 위한 조치들이 시민들에게 안정감을 제공하고, 향후 비슷한 사건에 대한 대비가 강화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3. 함께 보면 좋은 글

 

 

지진의 원인과 스나미와의 연관 관계

1. 지진의 종류와 원인 지진의 원인: 지진은 지구 내부에서 발생하는 지각 움직임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지구의 겉면은 여러 개의 대륙 조각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러한 조각들은 서로 이동하

beomi70.tistory.com

 

 

태풍의 형성과 특징 그리고 인간에게 주는 영향

태풍은 적도 근처의 따뜻한 바다에서 형성되는 크고 강력한 열대성 저기압입니다. 그들은 세계의 다른 지역에서 다른 이름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북대서양과 북태평양 중앙/동부에서는 허리케

beomi70.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