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한국기초과학연구원 스트레처블 QLED(퀀텀닷발광다이오드) 세계 최고 성능 개발

by 버미70 2024. 4. 16.
728x90

 

 

 

1. 스트레처블 QLED

 

한국 기초과학연구원(IBS)이 발표한 최신 연구는 퀀텀닷(양자점) 디스플레이 기술에 대한 혁신적인 발전을 나타냅니다. 김대형 부연구단장과 현택환 단장을 비롯한 연구팀은 최문기 울산과학기술원(UNIST) 교수와 양지웅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교수팀과의 협력을 통해 스트레처블 QLED(퀀텀닷발광다이오드)의 세계 최고 성능을 개발했습니다.

 

 

이전에 개발된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는 발광부를 제외한 배선부만 늘어나는 구조였습니다. 그 결과, 발광부의 면적이 줄어들고 발광 부분과 배선부 사이의 기계적 신뢰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습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연구팀은 퀀텀닷을 발광물질로 활용하는 새로운 신축성 발광층을 고안했습니다.

 

이번 연구에서 제조된 소자의 최고 휘도는 1만5천170니트로, 구동 전압은 6.2V입니다. 이는 지금까지 개발된 신축성 퀀텀닷 발광소자 중 가장 우수한 성능을 보입니다. 또한, 이 소자는 양옆으로 당겨도 기계적 손상이나 발광 성능 저하가 없으며, 최대 1.5배까지 늘려도 퀀텀닷 간 거리에 큰 변화가 없다고 합니다.

 

이러한 기술의 발전은 미래의 디스플레이 산업에 많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됩니다. 특히 자동차 내부 디스플레이나 이동형 전자기기에서 유연하고 신축성 있는 디스플레이를 구현하는 데에 큰 기여를 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2. 자유 형상 디스플레이

 

김대형 부연구단장은 스트레처블 소자를 활용한 형태 가변 디스플레이는 차세대 디스플레이 발전의 핵심 트렌드라며 자동차 내부 곡면 디스플레이 등 플렉서블이나 폴더블 폼팩터로는 구현이 어려운 곳에도 이 기술을 적용하면 자유 형상 디스플레이 시대를 앞당길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권위 있는 전기·전자 분야의 학술지 '네이처 일렉트로닉스'에 발표되었으며, 디스플레이 산업의 미래에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3. 함께 보면 좋은 글

 

 

로봇의 현대 산업 사회에서 중요한 역할

1. 로봇 소개 로봇 기술은 현대 산업과 사회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그 역할은 점차 확대되고 있습니다. 로봇은 이전에는 주로 반복적이고 위험한 작업을 자동화하는 데 사용되었지만,

beomi70.tistory.com

 

 

물을 끓여서 많은 양의 나노·미세플라스틱을 제거

1. 미세플라스틱 발견 마시는 물에서 나노·미세플라스틱이 발견된 것은 환경과 건강에 대한 우려를 불러일으키고 있는 문제입니다. 이러한 우려는 전 세계적으로 높아지고 있으며, 중국 연구진

beomi70.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