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복주 AI 모델 로미 소주 광고 최초로 AI 모델 활용
1. 금복주 AI 모델
금복주가 AI 모델 로미(ROMI)를 활용해 과당 제로 제품인 제로투(ZERO 2) 소주 광고를 제작했다고 28일 밝혔습니다. 금복주는 국내 주류업계에서 최초로 AI 모델을 활용한 사례로, 이번 광고는 AI 기술을 활용한 마케팅의 새로운 장을 열게 되었습니다. 로미는 제로의 로와 아름다울 미를 결합해 지은 이름으로, 본업에 충실하면서도 사교적이고 매사에 적극적인 성격을 지닌 캐릭터입니다. 로미는 자유롭고 활동적인 성격으로 사람들에게 거부감 없이 다가가는 캐릭터로 설정되었습니다.
금복주는 새 모델 로미와 함께 '제로라서 더 가볍다' 캠페인을 온·오프라인에서 활발히 펼칠 예정입니다. 특히 디지털 환경에서 성장한 MZ 세대들이 가상 인간에 대해 낯설지 않게 여기는 만큼, 제로투 브랜드와 AI 모델 로미에 대해서도 앞으로 많은 관심을 가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금복주 관계자는 "젊은 층의 관심도가 높은 AI 모델 광고를 통해 주류 시장에 새로운 바람을 일으키겠다"고 밝혔습니다.
2. 유명 연예인 광고 모델
금복주는 과거에도 많은 유명 연예인들을 광고 모델로 발탁해왔으며, 이들은 이후 톱스타로 성장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이로 인해 '금복주 광고 모델은 반드시 뜬다'는 속설이 생길 만큼, 금복주는 신예를 발굴하는 뛰어난 심미안을 지닌 기업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과거 금복주 소주 모델로 활동한 연예인들 중에는 한예슬, 이보영, 이수경, 손담비, 박한별, 이다해, 손은서, 강소라, 백진희, 오마이걸 아린 등이 있습니다. 또한, 금복주는 지난해 10월부터 트로트 가수 이찬원을 새롭게 리뉴얼한 참소주의 광고 모델로 발탁해 화제가 되기도 했습니다. 참소주 모델로 남성이 발탁된 것은 역대 최초였습니다.
AI 모델의 기용에는 몇 가지 중요한 장점이 있습니다. 첫째, 다른 연예인들과 달리 스캔들이나 각종 사건·사고로 인한 이미지 추락을 걱정할 필요가 없습니다. 이는 주류업계와 같이 이미지 관리가 중요한 산업에서 특히 큰 이점입니다. 둘째, 모델료가 상대적으로 저렴하여 마케팅 비용을 절감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AI 모델은 강한 팬덤이 형성되지 않는다는 핸디캡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실제 인간 모델이 가지는 팬층과의 감정적인 교감이 부족하기 때문입니다.
AI 광고모델 가운데 가장 유명한 캐릭터로는 '로지'가 있습니다. 로지는 네이버웹툰 계열사인 로커스엑스에서 개발한 가상 인간으로, 2021년 신한라이프 광고에 출연하면서 큰 명성을 얻었습니다. 로지는 동양적인 마스크에 키 171cm의 서구적 체형을 지녔으며, 여행과 서핑, 스케이트보드, 프리다이빙, 클라이밍을 취미로 하는 밝고 쾌활한 Z세대 여성으로 만들어졌습니다. 로지는 2021년에는 5편, 2022년에는 6편의 광고에 출연했지만, 인기가 오래 지속되지는 못했습니다. 신한라이프는 2023년 로지와의 계약을 종료하고 새로운 광고모델로 배우 박성훈을 기용했습니다.
3. 네이버 가상인간 이솔
네이버가 자이언트스텝과 공동 개발한 또 다른 가상인간 이솔도 있습니다. 이솔은 2022년 네이버 쇼핑라이브에 쇼호스트로 처음 데뷔한 후 벤츠 광고모델로 발탁되었지만 이후 활동이 뜸해졌습니다. 카카오게임즈의 손자회사 온마인드가 개발한 가상인간 '수아' 역시 2022년 한국관광공사 홍보 모델을 시작으로 코오롱, SK텔레콤 광고 등에 출연해 이름을 알렸지만 이후 별다른 활동이 없는 상태입니다.
이처럼 AI 모델은 초기에는 신선한 반응을 얻지만, 장기적으로 강력한 팬덤 형성에는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하지만 기술이 발전하고 가상 인물들이 점점 더 현실적으로 다가오면서, 이들이 가지는 잠재력은 무궁무진합니다. 앞으로 금복주의 로미가 어떤 반응을 얻고 주류 시장에서 어떤 영향을 미칠지 주목됩니다. AI 모델을 통해 새로운 마케팅 전략을 펼치려는 금복주의 시도가 성공할 수 있을지 기대가 모아집니다.
4. 함께 보면 좋은 글
생성형 인공지능(AI)등장으로 구글의 시장 점유율 하락 추세
1. 검색 엔진 시장 생성형 인공지능(AI)의 등장으로 구글의 시장 점유율이 약간 하락한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최근의 데이터에 따르면, 구글은 전세계 검색 엔진 시장에서 90.91%의 점유율을
beomi70.tistory.com
4월 20일 장애인의 날 인공지능(AI) 첨단 기술 활용 삶의 질 향상
1. 장애인의 날 4월 20일은 국제적으로 '장애인의 날'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이는 장애인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고, 그들의 권리와 자격을 존중하며 사회적 통합을 촉진하기 위해 제정되었습니다.
beomi70.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