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오픈AI 인공지능 기반으로 한 검색 기능 발표

by 버미70 2024. 7. 28.
728x90

오픈AI
오픈AI

 

 

오픈AI가 인공지능(AI)을 기반으로 한 검색 기능을 발표하며 전 세계 검색 시장을 장악하고 있는 구글에 도전장을 내밀었습니다.

 

 

1. 오픈AI

 

오픈AI는 25일(현지시간) AI 기반의 자체 검색 엔진 ‘서치GPT’의 시험 버전을 일부 이용자를 대상으로 테스트한다고 밝혔습니다. 현재 홈페이지를 통해 시험 버전을 이용할 수 있는 대기자를 모집하고 있습니다. 오픈AI는 “웹에서 얻은 최신 정보로 질문에 빠르고 직접적으로 답변하는 동시에 출처에 대한 명확한 링크를 제공한다”며 “향후 이러한 기능 중 가장 뛰어난 부분을 (자사 AI 챗봇) 챗GPT에 통합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오픈AI가 공개한 시연 영상을 보면 이용자가 “8월 노스캐롤라이나 분에서 열리는 음악 축제”라고 검색하자 조건에 맞는 음악 축제들이 관련 사진, 간단한 소개와 함께 주르륵 나타났습니다. 각 축제 정보마다 출처와 링크도 제공됐습니다. 이용자는 검색 결과 하단에 있는 입력창에 한 축제를 지목해 “가족 친화적이냐”고 추가 질문을 던졌습니다. “무료이고 가족들이 의자나 담요를 가져와 잔디밭에서 편안하게 음악을 즐길 수 있다”며 가족과 함께 가기에 좋다는 답변이 돌아왔습니다.

 

샘 올트먼 오픈AI 최고경영자(CEO)는 자신의 엑스(옛 트위터) 계정에 “우리는 현재보다 훨씬 더 나은 검색을 만들 여지가 있다고 생각한다”고 적었습니다. 오픈AI는 “웹에서 답변을 얻으려면 많은 노력이 들고, 관련 결과를 얻기 위해 여러 번 시도해야 하는 경우가 많다”며 “웹의 실시간 정보로 대화 기능을 향상하면 원하는 정보를 더 빠르고 쉽게 찾을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2. 검색시장 지배력

 

오픈AI가 구글의 검색시장 지배력을 낮출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전 세계 검색 시장에서 구글의 점유율은 90%가 넘습니다. 구글 역시 자사 생성형 AI 제미나이 기반의 검색 서비스를 미국 등에서 선보이고 있습니다. 오픈AI와 협력 관계인 마이크로소프트도 지난해 검색 엔진 ‘빙’에 챗GPT를 탑재했습니다. 비지니스인사이더는 오픈AI의 서치GPT 발표를 두고 “구글과의 전쟁을 선포했다”고 평했습니다.

 

오픈AI는 콘텐츠를 제작하는 미디어 업계와의 협력도 강조했습니다. 정보 출처 표기를 통해 이용자가 해당 사이트를 방문할 수 있도록 돕는다는 것입니다. 앞서 오픈AI는 월스트리트저널(WSJ)을 보유한 미국 뉴스코퍼레이션(뉴스코프), 미국 AP통신, 영국 파이낸셜타임스, 독일 악셀스프링거, 프랑스 르몽드 등과 AI 콘텐츠 이용을 위한 계약을 맺었습니다. WSJ는 “서치GPT 같은 제품이 콘텐츠 게시자에게 얼마나 많은 트래픽을 가져다줄 수 있는지는 명확하지 않다”고 말했습니다.

 

오픈AI의 이러한 행보는 검색 시장의 판도를 바꿀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습니다. 현재 구글이 압도적으로 지배하고 있는 검색 시장에서 새로운 AI 기반 검색 엔진이 어떤 변화를 일으킬지 기대를 모으고 있습니다. 서치GPT가 실시간으로 웹 정보를 제공하고, 대화형 검색 경험을 제공함으로써 이용자들이 원하는 정보를 빠르고 쉽게 찾을 수 있게 한다는 점에서 차별화된 경쟁력을 가질 수 있을 것입니다.

 

3. 실질적인 트래픽

 

오픈AI가 정보 출처를 명확히 하고, 이용자가 원본 사이트를 방문하도록 유도함으로써 콘텐츠 제작자와의 협력을 강화하려는 노력도 주목할 만합니다. 이는 콘텐츠 제작자들에게 실질적인 트래픽 증가로 이어질 수 있는 중요한 부분입니다. 그러나 서치GPT가 실제로 얼마나 많은 트래픽을 콘텐츠 게시자에게 가져다줄지는 향후 지켜봐야 할 부분입니다.

 

 

오픈AI의 서치GPT가 검색 시장에서 성공을 거둘 수 있을지, 그리고 구글의 지배력을 얼마나 약화시킬 수 있을지는 아직 불확실하지만, 오픈AI의 도전은 검색 기술의 발전과 경쟁 촉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됩니다. 오픈AI의 새로운 검색 기능이 사용자 경험을 어떻게 변화시킬지, 그리고 검색 시장의 경쟁 구도를 어떻게 바꿀지 앞으로의 행보가 기대됩니다.

 

4. 함께 보면 좋은 글

 

 

미국이 인공지능(AI) 분야에서 압도적인 투자

1. NIA 보고서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에서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이 인공지능(AI) 분야에서 압도적인 투자를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2022년 한 해 동안 미국 정부와 민간 부

beomi70.tistory.com

 

 

생성형 인공지능(AI)등장으로 구글의 시장 점유율 하락 추세

1. 검색 엔진 시장  생성형 인공지능(AI)의 등장으로 구글의 시장 점유율이 약간 하락한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최근의 데이터에 따르면, 구글은 전세계 검색 엔진 시장에서 90.91%의 점유율을

beomi70.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