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국내 이용자들이 가장 많이 쓰는 1순위 플랫폼

버미70 2024. 7. 20. 02:46
728x90

여러가지 플랫폼
여러가지 플랫폼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성인 남녀 25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지난해 부가통신사업 실태 조사 결과에 따르면, 국내 이용자들이 주로 사용하는 플랫폼은 각 분야별로 매우 뚜렷하게 나타났습니다.

 

 

 

1. 주요 플랫폼 이용 현황

 

메신저:

카카오톡이 압도적인 점유율을 보이며, 응답자의 93.5%가 사용하고 있다고 답했습니다. 이는 카카오톡이 국내 메신저 시장에서 사실상 독점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이용자들이 카카오톡을 선택하는 주된 이유는 '많은 사람이 이용하고 있어서'(36.5%)였습니다. 이는 네트워크 효과가 강하게 작용하는 메신저 서비스의 특성을 반영합니다.

 

택시 호출:

카카오T가 86.6%의 점유율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플랫폼입니다.

이용자들이 카카오T를 선택하는 이유는 '이용이 쉽고 편해서'(28.7%)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카카오T의 사용자 친화적인 인터페이스와 편리한 기능이 주요 선택 요인임을 시사합니다.

 

SNS:

인스타그램이 36.3%의 점유율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이는 인스타그램의 비주얼 중심 콘텐츠와 트렌디한 이미지가 국내 사용자들에게 큰 인기를 끌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검색:

네이버가 52.7%의 점유율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검색 플랫폼입니다. 이는 네이버가 오랜 기간 동안 쌓아온 신뢰성과 방대한 데이터베이스, 다양한 부가 서비스들이 주요 요인으로 작용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음식 주문 및 배달 앱:

배달의민족이 64.9%의 점유율을 보입니다. 배달의민족의 높은 점유율은 사용자들에게 익숙한 브랜드 이미지와 편리한 주문 시스템이 큰 역할을 했음을 보여줍니다.

 

숙박 플랫폼:

야놀자가 35.5%의 점유율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이는 야놀자의 다양한 숙박 옵션과 사용자 친화적인 앱 인터페이스가 주요 선택 요인임을 시사합니다.

 

전자상거래:

쿠팡이 38.6%의 점유율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쇼핑 플랫폼입니다.

이용자들이 쿠팡을 선택하는 주된 이유는 '신속한 배송이 가능함'(19.2%)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쿠팡의 로켓배송 서비스가 사용자들에게 큰 매력으로 작용했음을 보여줍니다.

 

앱 마켓:

구글플레이가 64.5%의 점유율로 가장 많이 사용됩니다. 이는 안드로이드 스마트폰 사용자들이 대부분 구글플레이를 통해 앱을 다운로드하고 이용하는 경향이 강하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2. 광고에 대한 이용자 인식

 

광고 노출 빈도: 광고 노출 빈도가 너무 높다는 인식은 평균 4.04점(5점 만점)으로 매우 높게 나타났습니다. 이는 사용자들이 온라인 플랫폼에서 광고의 과도한 노출에 대해 불만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개인 정보 제공: 관심사와 동떨어진 광고 노출 비중이 높아지더라도, 3.73점으로 내 정보를 제공하지 않는 편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었습니다. 이는 이용자들이 개인정보 보호에 대해 높은 우려를 가지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맞춤형 광고: 나의 관심사에 맞는 광고를 보는 것을 즐기지 않는 편이라는 응답이 2.54점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이용자들이 맞춤형 광고를 오히려 부담스럽게 느낄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유료 구독 서비스: 광고를 덜 보기 위해 유료 구독 서비스를 고려하지 않겠다는 응답이 2.60점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대다수의 이용자들이 광고를 피하기 위해 추가 비용을 지불하는 것을 꺼린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3. 멀티호밍 및 결제 방식

 

전자상거래: 지난 3개월간 2개 이상 디지털 플랫폼을 이용한 비율(멀티호밍율)이 86.8%로 매우 높았습니다. 이는 이용자들이 다양한 전자상거래 플랫폼을 병행하여 사용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앱 마켓: 앱 마켓의 경우 멀티호밍율이 25.5%로 낮고, 1년 안에 주 이용 서비스를 전환한 비율은 7.0%로 매우 낮아 고착화 현상이 두드러집니다. 이는 이용자들이 특정 앱 마켓에 대한 충성도가 높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결제 방식: 앱 마켓 이용자의 59%가 앱 결제 방식에 따른 가격 차이를 알고 있으며, 외부 결제를 사용할 의사가 있다는 응답자가 44.3%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이용자들이 앱 결제 방식에 민감하며, 더 나은 결제 옵션을 원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특히, 애플 앱스토어 이용자의 경우, 모바일 운영체계를 운영하는 사업자의 앱 마켓 외에 다른 앱 마켓이나 웹사이트 등을 통해 결제하는 '사이드 로딩'이 허용될 경우, 타 앱 마켓(62.2%)이나 웹사이트(57.6%)를 사용할 의향이 있다고 응답했습니다. 이는 애플 앱스토어의 높은 수수료와 제한적인 결제 옵션에 대한 이용자들의 불만이 반영된 결과로 볼 수 있습니다.

 

4. 함께 보면 좋은 글

 

 

네이버 지도 앱 이용 운전자 운전 점수 기능 도입 DB손해보험 혜택

네이버가 네이버 지도 앱을 통해 내비게이션 서비스를 이용하는 운전자를 대상으로 ‘운전 점수’ 기능을 도입하고, 이를 기반으로 DB손해보험과 연계하여 보험 혜택을 제공하는 새로운 서비스

beomi70.tistory.com

 

 

틱톡 라이트 앱테크 파격적인 현금 보상으로 이용자 급증

틱톡의 저사양 버전 앱인 틱톡 라이트가 앱테크(애플리케이션+재테크) 수단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틱톡 라이트는 친구 초대와 영상 시청을 통해 현금 보상을 제공하는 방식으로, 한 달에 수십

beomi70.tistory.com